현대에 들어 순 한글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있죠. 흔히 우리가 알 만한 사람들 중에는 축구선수 차두리도 있고, 지휘자 금난새도 있고, 제 친구 중에는 꽃잎이란 이름도 있습니다. 한글 이름은 무엇보다 한글의 아름다움이나 우수성을 느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민족의 정서를 담고 있다는 점 등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습니다. 특히나 성씨와 잘 어울어져서 아름다운 이름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성이 이씨인데 이름을 슬로 지어서 이슬이라는 예쁜 이름이 나올 수 있겠죠. 물론 이전시간에 이슬 로(露)라는 한자는 잠깐 존재하다 사라지는 의미이기 때문에 작명을 할 때 쓰지 않는 편이 좋다고 했던 것이 기억이 나실 수 있겠네요. 그런 점이 마음에 걸리면 다른 이름을 지어야겠고, 나는 그런 점은 별로 이름을 짓는데 있어서 염두에 두지 않겠다고 하시면 그대로 사용하셔도 되겠지요. 그 외에도 버들, 누리, 보라 등 많은 한글이름을 들어보셨을겁니다.
한글로 이름을 짓는데 있어서 한자보다 조금 아쉬운 점은 한자처럼 여러가지 뜻을 한 글자에 담기가 힘들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한자로 이름을 지으면 두 글자에 두 가지의 뜻을 넣을 수가 있습니다. 쉬운 예로, 재물도 많고 성공도 했으면 좋겠다는 두 가지의 뜻으로 재물 재(財)에 창성할 창(昌)를 써서 재창이란 이름을 지을 수가 있겠죠. 그러나 한글로 두 가지 이상의 뜻을 넣기는 쉽지 않을겁니다. 또한 법적으로 다섯 글자 이내로만 이름을 지을 수 있게 되어 있고, 그런 제한이 없다고 하더라도 이름을 다섯글자씩 지으려는 사람은 거의 없을겁니다. 왜냐하면 살면서 행정상 어려운 점이 많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어디 서류에 이름을 올릴 때에도 불편한 일이 생길 수 있고, 뭔가 신상에 관련된 정보를 전산화하는 과정에서 이름이 길면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상에서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겠죠. 하다못해 어떤 서류는 이름을 딱 세칸으로 쓰도록 만들어 놓은 서류들도 있죠. 그렇기 때문에 한글 이름도 보통 한자이름과 마찬가지로 두 글자로 짓는 경우가 많고, 두 글자 안에 여러 뜻을 담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죠.
한글 이름의 성명학적 적용
1. 음양
이름의 음양을 구분하는 두 가지 방식에 대해서 기억하시나요? 한글 이름의 모음을 가지고 구분하는 것이 있었고, 한자의 획수를 가지고 구분하는 것이 있었습니다. 한글 모음으로 구분하는 것은 동일하니 그냥 그대로 적용하시면 되겠고, 한자의 획수로 음양을 구분하는 방식은 한글에서는 취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글자 자체의 뜻과 이미지를 통해서 음양을 구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를테면 태양이라는 한글이름은 딱 봐도 양의 기운이 느껴진다고 할 수 있겠죠. 그리고 꽃잎이라는 한글 이름은 여성 스럽고 음의 기운이 느껴진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정리하면 발음오행으로서 모음으로 구분하는 음양은 음양음, 양음양, 양양음, 음음양의 구조로 음양의 조화를 이후도록 지으시면 되겠고, 한글의 뜻으로 유추하여 양적인 기운이 드는 이름은 남자에게, 음적인 기운이 드는 이름은 여자에게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2.오행
오행은 한자이름에서 발음오행과 자원오행이 있었던 것 기억하시죠? 발음오행은 한글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하여서 오행을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한글이름에서는 발음오행을 보는 방법을 약간 달리하는 방법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예를들어 이태양이라는 한글이름이 있다고 합시다. 그러면 한자이름과 같이 발음오행을 적용하면 이(ㅇ), 태(ㅌ), 양(ㅇ) 으로서 土火土이 됩니다. 이렇게 적용하는 방법이 있고, 한글이름은 태양이라는 말을 그냥 하나로 봐서 태양(ㅌ)을 하나로 火로 생각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면 이(土)태양(火)의 구조가 되는거죠. 마지막 방식은 그냥 단어의 의미로 오행을 보는 것인데 태양은 누가봐도 火가 떠오르는 이름이라 상관이 없지만 이름에 따라서 오행구분이 쉽지 않기 떄문에 초보자분들께서는 신경쓰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3.수리이론
수리사격론 기억하시죠? 원형이정을 계산해서 81수리의 격을 찾아서 길한지 흉한지 보았던 것이죠. 한글이름의 경우에는 수리사격론을 취하기가 무리가 있습니다. 수리사격은 한자 이름의 구성방식에서 획수를 따져서 나온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한글 획수로 수리사격을 따지면 되지 않냐고 하실 수 있는데, 그렇게 사용하는 작명가도 물론 있긴 할겁니다만 너무 소수입니다. 검증되지 않은 방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초보 성명학배우기 강의를 마치려고 합니다. 사주팔자를 포함하여 기타 술수학은 정답이 정확히 정해져 있지가 않기 때문에 초보자분들이 배우는 과정에 있어서 상당히 어려운 시간을 겪습니다. 그러나 성명학은 비교적 수학공식처럼 좋고 나쁨이 탁탁 떨어지기 떄문에 배우는데 훨씬 수월하십니다. 초보분들을 위해서 만든 강의지만, 사실 성명학 이론에 있어서 제가 알려드린 것에서 크게 더 나아가는 부분은 별로 없습니다. 성명학의 거의 모든 부분을 배우셨다고 보면 됩니다. 삼원론과 같은 것이 있긴 한데, 타당성이 없다고 생각하여 일부러 제외하였습니다. 부디 이 강의를 보시고 좋은 이름 지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성명학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7강. 호(號)와 상호명(商號名) (0) | 2022.06.28 |
---|---|
제6강. 성명의 최종분석 (0) | 2022.06.25 |
제5강. 작명시 기타 고려사항 (0) | 2022.06.23 |
제4강. 수리사격(數理四格) (1) | 2022.06.23 |
제3강. 자원오행(字源五行) (0) | 2022.06.18 |